AI, 사물인터넷 사회복지에 활용하는 서울시 강서구
집에서도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다면 거동이 힘든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겠죠? 강서구에서는 AI,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해서 내용을 가져와 봤어요.
대상은 강서구 65세 어르신이며 스마트폰을 통해 비대면으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아직은 시범사업이지만 잘 활용이 되어 필요하신 분들에게 더욱 확대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대상자 모집 인원은 600여 명으로 인원이 채워지면 마감이 된다고 하니 관심 있는 분들은 신청해 보시길 바랍니다.
<신청대상>
1. 만성질환 관리 및 건강행태 개선이 필요한 강서구 거주 만 65세 이상 어르신
2. 노인장기요양 1~5등급 판정자 및 모바일 헬스케어 대상자 제외됨.
3. 스마트폰 소지하고 데이터, 와이파이 사용 가능한 대상자(스마트폰 기종에 따라 참여 불가할 수 있음)
<신청기간>
7월 1일(금) 부터 600명 모집 시 마감
<신청>
02) 2600 - 1725, 1728, 0023
AI, 사물인터넷 활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서비스 참여 등록 → 사전 건강평가 → 건강위험요인에 따라 스마트기기 대여(체중계, 혈압계, 혈당계, 스마트밴드, AI스피커) → 비대면 건강관리 참여(6개월) → 사후 건강평가, 참여 종료 또는 재참여
미션 달성 후(6개월 참여 완료 시) 상품 제공이 된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스마트밴드 지급)
다른 지역에서도 시행되고 있는 사업이니까 다른 구에 계시다면 해당 지역구에 문의해 보셔도 되겠습니다. 서울뿐 아니라 타 지자체에서도 곳에 따라 시행될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제가 찾아본 곳 중 성동구와 중구도 'AI, 사물인터넷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 사업'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중구에서는 내일까지 해당 사업 기간제 근로자 채용도 진행중이니 관심 있는 분들은 지원해 보시면 어떨까요?
<함께 보면 좋은 글>
4차 산업혁명 사회복지에 독인가 약인가?
4차 산업혁명! 사회복지에는 독인가? 약인가? 1. 준비되지 않은 자의 알수없는 미래에 대한 공포 '4차산업혁명'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생각이 먼저 드시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공포감이 먼저
youwin.tistory.com
빅데이터 이제는 복지사각지대도 발굴해주네요!
빅데이터 이제는 복지사각지대도 발굴해주네요! 얼마전에 독거어르신과 1인가구에 대해 포스팅을 했었어요. 그와 더불어 제4차 산업혁명과 사회복지에 대해서도 포스팅을 했었습니다. 대략 요
youwin.tistory.com
'사회복지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거노인 종활사업 고독사를 예방하는 일본의 사업은? (0) | 2022.08.03 |
---|---|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해 포괄적으로 말하는 방법 (0) | 2022.07.20 |
양천향교역 스마트 그린쉼터에서 잠시 쉬었다 가볼까? (2) | 2022.03.03 |
고독사 사전에 막아 보려는 좋은 시도 서울 살피미 (0) | 2021.10.04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어떤 사업이 있을까? (0) | 2021.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