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담되는 대중교통비 기후동행카드로 갈아탈까?
현명하신 여러분들은 대중교통비를 최대한 아끼기 위해 어떤 방법들을 쓰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작년 12월부터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기 시작해 현재까지 약 10만 원가량을 절약하고 있답니다.
환급된 금액은 연말에 몰아서 나에게 작은 선물이라도 해보려고 해요.

그런데 얼마 전에 기후동행카드라고 해서 서울시 정책으로 나온 무제한 교통카드에 대해 접했는데요.
이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 5천 원짜리 교통카드로 서울 시내 거의 모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가 있다고 합니다.
버스, 마을버스, 지하철 심지어 따릉이까지. 이 모든 게 무제한이라고 하니 저도 하나 만들어 써볼까 고민됩니다.
왜냐하면 회사, 집 외에 잘 외출하지 않는 저의 경우 생활 반경이 크지 않아 현재 사용 중인 알뜰교통카드로 계속 사용하는 것이 더 이득이 아닐까 고민이거든요.
아무튼 내년(2024년) 1월에서 5월 사이에 시범 운영 해보고 본격적으로 내년 하반기에 시행될 계획이라고 합니다.
현재까지 나온 정보를 토대로 버스, 따릉이, 지하철, 리버버스 별로 간략한 이용 안내를 적어봅니다.
| 버스 | → 서울 시내버스, 마을버스 이용 가능 → 기본요금이 다른 광역버스 및 경기, 인천 등 타 지역버스는 이용 불가 |
| 지하철 | *기본 요금이 다른 신분당선 제외 → 서울 권역 내 승 하차 지하철(1호선~9호선), 신림선, 우이신설선, 경춘선, 분당선, 경의중앙선 모두 가능 |
| 리버버스 | →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까지 확대 가능 계획 |
| 따릉이 | → 1시간 이용권 무제한 이용할 수 있음 |
모바일로 쉽게 이용할 수 있지만 실물 카드 판매도 계획 중이라고 하니 참고하세요.
기후동행카드 이용방법
▶ 스마트폰 앱 or 실물카드(3천 원)를 충전 후 이용 가능
기후동행카드 이용으로 보는 혜택
▶ 60회 탑승 기준 1인당 교통비 연간 최소 34만 원 할인 효과
하지만 서두에 말씀드렸듯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지 않는 분들은 무조건 만들지 마시고 나중에 필요할 때 만들어 사용해도 괜찮을 것 같아요.
기한이 있는 것은 아니니까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을 계산해 보고 만드세요.
저도 계산기를 좀 더 두드려 봐야겠어요. ^^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며 대중교통을 더 많이 이용하게 될 경우 탄소중립 실천에 동참할 수도 있는 것도 뜻깊은 일이겠지요.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교통 혼잡도 개선할 수 있다면 사회경제적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겠고요.
동행기후카드처럼 외국에서도 무제한 통합 교통카드를 도입하고 있다고 해요.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등 많은 나라들이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들을 내놓고 있네요.
서울시에 한 가지 더 당부드리고 싶은 것은 교통 약자들을 위해 더 깊이 있는 논의도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경제적으로 육체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힘든 이들을 위해서도 진심으로 동행하는 서울시가 된다면 좋겠네요.
할인율을 더 높여 준다던지... 사실 누군가에게는 6만 5천 원도 매우 부담되는 돈이거든요.
또한 여전히 교통약자들에게 대중교통은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또 하나의 장애물일 수도 있는데 이러한 문제도 함께 해결해 간다면 더 좋을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 모든 정책에는 양면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기사를 참고해 보시고 각자의 판단을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어떤 양면성을 가지고 있을 지 탐색해 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https://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4&artid=202309221124281
[할 말 있습니다](39) 기후동행카드 왜 찜찜하냐면
지난 9월 11일 서울시가 월 6만5000원을 내면 서울 시내의 지하철, 버스, 따릉이 등 모든 대중교통수단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후···
weekly.khan.co.kr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502517931?OutUrl=naver
민생 돕고 환경 살리는 獨 대중교통 무제한 티켓 열풍… 우리나라도? [이슈+]
독일 전역에서 월 49유로(약 7만2000원)에 근거리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도이칠란트 티켓’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이번달부터 판매가 본격 시작된 이 티켓은 이미 300만명이 티켓을
www.segye.com
'사회복지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국 노인 빈곤율, 대책 마련이 시급한 이유 (0) | 2023.12.22 |
|---|---|
|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병원동행매니저에게 맡기세요. (1) | 2023.12.08 |
| 사회복지정책의 가치 : 우리 사회의 번영과 공정한 세계를 위한 투자 (0) | 2023.05.22 |
| 복지 사각지대의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 (0) | 2023.05.04 |
| 서울시 1인가구 지원사업 안심장비 지원 (0) | 2023.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