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사회지표로 보는 2020 한국의 모습
숫자로 보면 더 와닿는 것들이 있습니다.
여러 가지 사회지표들이 그중 하나입니다.
2020 한국의 사회지표를 보는 것도 지금의
우리 사회를 파악해 볼 수 있는 도구가 될 것 같아요.
함께 보실까요?
지표들은 2020년 기준이고 2019년 기준만
따로 적어봅니다.
1. 인구
▶ 2020년 우리나라 총인구 : 5,178만 명
2028년 예상 총인구 : 5,194만 명
이후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2020년 합계출산율 : 0.84명(전년보다 0.08명 감소)
4년 연속(2017년 이후) 역대 최저치 출산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 2020년 수도권 인구 : 2,595만 8천 명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어섰습니다.
2. 가구·가족
▶ 2019년 기준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 : 2.39명
1인 가구 & 2인 가구 비중 증가
3인 이상 가구 비중 감소 추세입니다.
▶ 국민 중 51.2%가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16.8%는 이유가 있으면 이혼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고 있네요.
3. 건강
▶ 2019년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 : 83.3년
▶ 2019년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인 사망률은 암 → 심장질환 → 폐렴 → 뇌혈관질환 순
▶ 2019년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흡연율 : 20.2%(전년 대비 0.9%p 감소)
음주율 : 57.7%(전년 대비 0.1%p 감소)
4. 교육·훈련
▶ 초등학교 교원 1인당 학생 수 :
초등학교(14.2명) → 중학교(11.8명) → 유치원(11.4명) → 고등학교(10.1명) 순
▶ 성인 10명 중 4명은 평생교육에 참여하고 있음.
참여자 1인당 자부담 학습비 : 평균 36만 원
▶ 2019년 25~64세 국민 2명 중 1명 고등교육 이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67.1%가 취업함
5. 노동·여가
▶ 고용률은 60.1%(전년대비 0.8%p 하락), 실업률은 4.0%임(0.2%p 상승)
▶ 국민의 평균 여가시간(15세 이상) :
평일 3.7시간 / 휴일 5.6시간
6. 소득·소비·자산
▶ 2019년 연평균 가구소득 : 5,924만 원(전년대비 96만 원 증가)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액 : 246만 원
▶ 2019년 균등화 처분 가능 소득 기준 지니계수 : 0.339
소득 5분위 배율 : 6.25배
상대적 빈곤율 : 16.3%로
소득분배 정도가 개선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 지니계수 ◆
빈부격차와 계층 간 소득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소득이 어느 정도 균등하게 분배되는지를 알려준다.
지니계수는 0부터 1까지의 수치로 표현되는데, 값이 ‘0’(완전평등)에 가까울수록 평등하고 ‘1’(완전불평등)에 근접할수록 불평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출처. 통계청
▶ 2020년 가구당 평균 순자산액은 전년 대비 2.9% 증가한 3억 6,287만 원.
7. 주거
▶ 2019년 우리나라의 최저 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중 : 5.3%(전년보다 0.4%p 감소)
▶ 2019년 1인당 주거면적 : 29.2㎡(전년보다 0.7㎡늘어남)
다른 지역보다 좁은 것으로 나타난 수도권 지역의 1인당 주거면적이 눈에 띄네요.
▶ 2019년 현재 거주 중인 주택에 대한 만족도 : 3.00(전년대비 0.02점 상승)
아파트 → 다세대주택 → 단독주택 → 주택 이외의 거처 → 연립주택 순의 만족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8. 생활환경
▶ 우리나라 국민의 생활환경 만족도 :
녹지환경(58.7%) → 대기질(38.2%) → 수질(37.7%) → 토양환경(36.7%) → 소음(35.7%)
순의 만족도를 보여줍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전 분야에서 만족도 상승!
▶ 2019년 우리나라의 환경성 질환자 수 :
전체 유병률은 16.7%로 0.1%p 감소했습니다.
(참고로 861만 1천 명)
9. 범죄·안전
▶ 2019년 인구 10만 명당 범죄 발생 건수 :
3,419건으로(전년보다 1.5% 증가)
10년 전과 비교하여 22.2% 감소한 수치라고 합니다.
지역별로는 가장 높은 범죄율을 보인 제주에 이어 전남 부산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국민 10명 중 7명은 야간보행이 안전하다고 생각함.(66.5%)
10. 사회통합·주관적웰빙
▶ 사회갈등 인식 정도 :
보수와 진보(85.4%) → 빈곤층과 중·상층(82.7%) → 근로자와 고용주(74.2%)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삶의 만족도 조사에서는 61.6%의 나타났으며 전년보다 0.9%p 증가했습니다.
이상 2020년 한국의 주요 사회지표였습니다.
예상한 대로 나온 것도 있고 의외의 결과도 있고
그렇습니다.
가끔 통계청을 살펴보는 것도 흥미롭네요.
여러분도 심심하실 때 한 번씩 살펴보세요.
'사회복지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차 재난지원금 신청 날짜 확인해 볼까요? (2) | 2021.08.30 |
---|---|
출생아수 2020 출생통계 합계출산율 발표 (0) | 2021.08.25 |
5차 재난지원금 1인가구 금액 및 또 다른 지원사업 (0) | 2021.08.17 |
서울시50플러스재단 행복얼라이언스의 학습지원 사업 (2) | 2021.08.06 |
치매 국가 책임제 치매안심센터의 관리시스템 구축 (2) | 2021.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