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한이야기

미국 주식이 무너지지 않는 이유, 바로 401k 때문이다

by ohmyworld 2025. 10. 29.
반응형

 

“미국 주식이 무너지지 않는 이유, 바로 401k 때문이다”

 

미국 주식 공부하다가 401(k)를 주목한 이유

미국 주식 시장이 왜 그렇게 장기적으로 우상향하고, 큰 위기가 와도 금방 회복하는지 궁금했어요. 단순히 '미국이니까'라는 대답으로는 부족하잖아요?

공부해 보니 그 핵심에는 미국의 확정 기여형 퇴직연금 제도인 401(k)가 있더라고요. 401(k)는 단순히 노후 준비를 넘어, 미국 주식 시장에 거대한 자금을 끊임없이 넣어주는 튼튼한 '파이프' 역할을 하고 있었어요.

반응형

저처럼 금융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401(k)가 시장을 어떻게 지탱하는지, 그리고 우리나라의 퇴직연금(DC/IRP)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401(k)는 단순히 노후 준비를 넘어, 미국 주식 시장에 거대한 자금을 끊임없이 넣어주는 튼튼한 '파이프' 역할을 하고 있었어요.

본론 1 : 401(k)가 시장을 안정시키는 구조적 원리

1.1. 시장 상황과 관계없이 '자동으로' 돈이 들어온다

401(k)의 가장 큰 힘은 자동 적립 구조인 것 같아요. 월급에서 일정 비율이 저축되는데, 회사에서 매칭(Matching) 기여금까지 넣어주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내가 신경 쓰든 안 쓰든, 주가가 오르든 떨어지든 간에 매달 꾸준히 이 자금이 주식 시장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제가 자료를 찾아보니, 2024년 4분기 기준으로 이 401(k) 자산 규모가 무려 8.9조 달러가 넘는다고 해요. (약 1경 2천조 원!) 이 막대한 돈이 시장이 어려울 때도 계속 매수하는 힘으로 작용해서 시장의 하락을 막아주는 것 같아요. (출처: Investment Company Institute, 2025)

이것이 바로 시장에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는 핵심 원리인 거죠.

월급에서 일정 비율이 저축되는데, 회사에서 매칭(Matching) 기여금까지 넣어주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1.2. '강제 장기 투자'가 패닉 매도를 막아준다

401(k)는 은퇴 전에는 돈을 함부로 뺄 수가 없게 되어 있어요. (벌금과 세금이 엄청나다고 하더라고요。) 이게 오히려 장점인데, 단기적인 시장 하락에 사람들이 놀라서 주식을 던지는 '패닉 셀(Panic Sell)'을 근본적으로 막아줍니다.

어차피 못 빼니까 계속 놔두는 거죠. 이런 '장기 투자 마인드'가 강제되는 구조덕분에 시장의 변동성(Volatility)이 훨씬 줄어든다고 해요.

심지어 주가가 떨어져도 월급에서 계속 투자가 되니, 결과적으로 싸게 사는 효과(Dollar-Cost Averaging)까지 누리게 되고요.

728x90

1.3. 특정 주식의 가격을 지지하는 401k의 영향력

더 깊이 공부해 보니, 401k 플랜이 많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일수록 다른 펀드들도 더 많이 사려는 경향이 있더라고요. 그러니까 401k가 어떤 주식을 많이 담고 있다는 것 자체가 그 주식의 시장 가치에 대한 일종의 '보증서' 역할을 하는 것 같았습니다.

401k가 단순한 자금 공급자를 넘어, 특정 주가를 떨어지지 않게 지탱해 주는 든든한 기반이 된다는 게 놀라웠습니다.

'디폴트 옵션'이 활성화되어야 하는 이유

본론 2 : 우리나라 퇴직연금(DC/IRP)은 왜 다를까?

미국 401(k)가 시장의 큰손 역할을 하는 반면, 우리나라의 퇴직연금은 아직 시장에 미치는 힘이 약하다고 느껴졌어요. 이건 운용 방식의 차이 때문인 것 같아요.

2.1. 대부분 '원금 보장' 상품에 몰려있는 현실

우리나라 퇴직연금 적립금(약 382.4조 원)은 규모는 크지만, 대부분이 원금 손실 걱정 없는 상품(예금, 보험 등)에 들어가 있어요. 미국 401(k)가 주식형 펀드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것과 너무 대비되더라고요.

  • 미국 401k의 목표 - 장기적인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는 주식 투자.
  • 한국 퇴직연금의 현실 - 안전(원금 보장)을 최우선으로 하는 저위험 상품 선호.

결국, 이렇게 돈이 원금 보장 상품에만 머물러 있으면, 퇴직연금 자금이 우리나라 주식 시장의 안정적인 장기 자본 역할을 하기는 어렵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장기적으로 개인의 수익률도 낮아질 수밖에 없고요.

2.2. '디폴트 옵션'이 활성화되어야 하는 이유

미국 401(k)에서는 가입자가 투자를 선택하지 않으면 TDF(Target Date Fund) 같은 주식 포함 펀드자동 투자(디폴트 옵션) 되도록 유도하는 경우가 많아요. 비전문가도 자동으로 장기 수익을 추구할 수 있게 돕는 거죠.

우리나라도 '디폴트 옵션' 제도가 도입되었지만, 아직 모르는 분들이 많고 활성화도 덜 된 것 같아요. 제가 공부하며 내린 결론은, 우리나라 퇴직연금이 미국 401(k)처럼 자본 시장의 든든한 지지대가 되려면, 가입자가 신경 쓰지 않아도 자동으로 공격적인 장기 투자가 되도록 디폴트 옵션이 더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개인의 노후 수익률을 위해서도, 국가 자본 시장의 발전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변화라고 생각했어요.

연금 운용은 모두에게 중요한 일이다.

연금 운용은 모두에게 중요한 일이다.

이번에 401(k)를 공부하면서 '역시 투자는 장기적으로 꾸준히 하는 게 제일 중요하구나'를 다시 한번 깨달았어요. 미국 주식 시장이 굳건한 배경에는 401(k)라는 거대한 장기 투자 자본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요. 이 자본은 시장이 침체될 때도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지지해주고, 좋은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돈을 꾸준히 공급하는 경제의 핵심 구조였어요.

우리나라 퇴직연금도 규모는 크지만, '원금 보장' 선호 때문에 시장 발전과 개인의 노후 수익률을 모두 제한하고 있다는 점이 안타까웠습니다. 401(k) 사례를 보면서, 퇴직연금 운용은 단순한 개인의 노후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자본 시장의 체질 개선을 위한 중요한 전략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 모두 이 글을 읽고 자기 자신의 퇴직연금(DC/IRP)이 지금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 다시 한번 꼼꼼하게 들여다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참고 자료:
  1. Investment Company Institute (ICI), “The U.S. Retirement Market, Fourth Quarter 2024.”
  2. Collegio Carlo Alberto, Tamoni, Andrea et al., “Stock Demand and Price Impact of 401(k) Plans,” (2023).
  3. 유진투자증권, “퇴직연금 시장의 기회 2,” (2023.11.27).
  4. Julius Baer, “Private Markets in 401(k)s? How Trump's 2025 executive order could reshape retirement investing,” (2025.10.16).

자주 묻는 질문 (FAQ)

Q. 한국의 DC형 퇴직연금으로 미국 주식 투자가 가능한가요?
👉 네, 가능합니다. DC(확정 기여형) 퇴직연금이나 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를 통해 운용 지시를 할 경우, 해외 주식형 펀드나 해외 ETF(상장지수펀드)를 매수하여 미국 주식 시장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각 금융사의 상품 라인업을 확인해야 합니다.
Q. 401(k)는 왜 '세제 혜택'이 그렇게 강력한가요?
👉 401(k)는 납입금과 운용 수익에 대해 당장 세금을 부과하지 않고, 은퇴 후 인출 시점에 세금을 납부하도록 하는 세금 이연(Tax Deferral) 혜택이 핵심입니다. 이는 장기간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여 실제 은퇴 자산을 훨씬 크게 불릴 수 있게 만듭니다. 이는 노후 대비를 장려하는 강력한 정책적 인센티브입니다.
Q. 미국 401(k)의 '디폴트 옵션'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 '디폴트 옵션'은 가입자가 별도의 투자 지시를 하지 않았을 경우, 금융기관이 사전에 정해진 운용 방법(주로 TDF, Target Date Fund)으로 자동 투자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비전문가도 적극적인 운용 없이 장기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면책 조항: 본 콘텐츠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투자 또는 금융 조언을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투자 결정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시장 상황에 따라 자산 가치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