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금을 재평가하게 되면... (금의 현금화?)
금값이 사상최고치를 연일 갱신하고 있다고 하죠. 신경 쓰이고 걱정되고 서민들은 괜히 고민만 하나 더 늘어버린 느낌입니다. 이렇게 비싼 금을 지금이라도 사둬야 하나 말아야 하나...😢
이런 저런 생각을 하던 중 유튜브에 금에 대한 소식이 있어 내용 그대로 옮겨와 봤습니다. 맨 하단에 링크도 있으니 영상을 직접 보시는 것도 좋겠네요.
번역기를 써서 매끄럽지 않은 부분이 있다는 점 양해 바랍니다.
Something big is happening in the world of gold. The US Treasury and Federal Reserve may be gearing up for a financial move that could change everything: monetizing America's gold reserves. What does that mean? Could the US seriously be about to mobilize the gold of Fort Knox? And what happens if they push the price of gold to $110,000 or more?
금의 세계에서 큰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미국 재무부와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미국의 금 보유고를 현금화하는 등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는 금융 움직임에 대비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게 무슨 뜻일까요? 미국이 정말로 금을 동원하려고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금 가격을 110,000달러 이상으로 올리면 어떻게 될까요?
So first up, what is gold monetization? Well, it's an idea that has repeatedly surfaced in recent years, but it's now gaining fresh attention due to mounting economic challenges and increasing gold prices. In simple terms, it means turning gold, an asset traditionally held in reserve, into an active financial instrument that can be used to fund government operations, settle debt, or stabilize the economy.
우선 금 현금화란 무엇일까요? 최근 몇 년 동안 반복적으로 등장한 아이디어이지만,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금 가격이 상승하면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전통적으로 보유 자산이었던 금을 정부 운영 자금 조달, 부채 해결, 경제 안정에 사용할 수 있는 적극적인 금융 수단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US Treasury Secretary Scott Bessent has recently floated the idea of monetizing the asset side of the US balance sheet. This means leveraging existing government-owned assets, most notably the supposed 8,100 metric tons of US gold reserves, to inject liquidity into the economy.
스콧 베슨트 미국 재무장관은 최근 미국 대차대조표의 자산 측면을 현금화하는 아이디어를 발표했습니다. 이는 기존 정부 소유 자산, 특히 8,100미터톤의 미국 금 보유량을 활용하여 경제에 유동성을 주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re are several possible methods to achieve this. One approach is revaluing US gold holdings, which would raise the book value of gold from its outdated official price of $42 per ounce to reflect its true market value of over $2,900 per ounce. Such an adjustment would instantly unlock trillions of dollars in paper wealth, significantly strengthening the government's financial position and creating new fiscal options.
이를 달성하기 위한 몇 가지 가능한 방법이 있습니다. 한 가지 접근 방식은 미국 금 보유량을 재평가하는 것으로, 금의 장부 가치를 기존 공식 가격인 온스당 42달러에서 온스당 2,900달러 이상의 실제 시장 가치를 반영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조정은 수조 달러의 종이 자산을 즉시 잠금 해제하여 정부의 재정 상태를 크게 강화하고 새로운 재정 옵션을 창출할 것입니다.
Another method is collateralizing gold for new financial instruments. This could involve using gold as security for issuing government-backed bonds or even creating innovative financial vehicles that integrate gold directly into the monetary system. By leveraging gold in this way, the US could introduce alternative funding sources without resorting to additional money printing or increasing its reliance on traditional debt markets.
또 다른 방법은 새로운 금융 상품을 위해 금을 담보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정부 지원 채권 발행을 위한 담보로 금을 사용하거나 금을 통화 시스템에 직접 통합하는 혁신적인 금융 수단을 만드는 것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금을 활용하면 미국은 추가적인 화폐 발행이나 전통적인 부채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지 않고도 대체 자금원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An even more dramatic move would be tying gold to future monetary policy, where gold serves as a stabilizing force for the US currency. This wouldn’t necessarily mean a full return to the gold standard but rather a hybrid system where gold backs a portion of the US dollar, helping to restore confidence in its value while still allowing for some level of fiat flexibility.
더욱 극적인 움직임은 금을 향후 통화 정책에 묶어두는 것입니다. 금이 미국 통화의 안정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이는 반드시 금본위제로 완전히 돌아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금이 미국 달러의 일부를 지지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어느 정도 법정화폐의 유연성을 확보하면서도 금의 가치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This isn’t just theoretical; there are historical precedents. From Roosevelt in 1933 to Nixon in 1971, dramatic shifts in gold’s monetary role have occurred before. But why is Scott Bessent considering it now? Why does the US want to monetize gold?
이것은 이론적인 것뿐만 아니라 역사적인 선례도 있습니다. 1933년 루스벨트에서 1971년 닉슨에 이르기까지 금의 화폐적 역할에 극적인 변화가 일어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스콧 베슨트는 왜 지금 이를 고려하고 있을까요? 미국은 왜 금을 화폐화하려고 할까요?
The push to monetize gold isn’t happening in a vacuum. It’s a response to some of the most pressing financial and economic challenges the world has ever faced. The most obvious factor is the US’s national debt. With an on-balance-sheet debt of over $36 trillion and rising, US debt has reached levels where repayment seems increasingly implausible under the current system. This is not to mention the unfunded future liabilities estimated to be around $80 trillion in the coming years. Government spending outpaces revenue, and traditional solutions—raising taxes or cutting spending—are politically unfeasible.
금을 현금화하려는 움직임은 공백 상태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세계가 직면한 가장 시급한 금융 및 경제적 과제에 대한 대응입니다. 가장 분명한 요인은 미국의 국가 부채입니다. 대차대조표상 부채가 36조 달러가 넘고 증가함에 따라 미국 부채는 현재 시스템에서 상환이 점점 더 불가능해 보이는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향후 몇 년 동안 약 80조 달러로 추정되는 미자금 미래 부채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정부 지출이 수입을 앞지르고 있으며, 세금 인상이나 지출 삭감과 같은 전통적인 해결책은 정치적으로 실현 불가능합니다.
A gold revaluation could provide an alternative route, allowing the US to boost the value of its reserves and reduce debt burdens in one calculated move. But debt alone isn’t the only concern. The erosion of trust in fiat currency is a major issue. The US dollar’s purchasing power has fallen by at least 97% in the last 100 years, and its status as the world’s reserve currency is being challenged by BRICS nations and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금 재평가는 미국이 한 번의 계산으로 준비금 가치를 높이고 부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채만이 유일한 관심사는 아닙니다. 법정화폐에 대한 신뢰가 약화되는 것이 주요 문제입니다. 지난 100년 동안 미국 달러의 구매력은 최소 97% 감소했으며,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지위는 브릭스 국가와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에 의해 도전받고 있습니다.
Inflation and financial instability add another layer of urgency. The recent banking crisis, high inflation, and soaring interest payments on government debt all point to an unsustainable trajectory. In this environment, gold is seen as a safe-haven asset, and its monetization could be framed as a stabilizing measure rather than a desperate act. The pieces are falling into place for a potential gold monetization event.
인플레이션과 금융 불안정은 또 다른 긴박감을 더합니다. 최근의 은행 위기, 높은 인플레이션, 치솟는 정부 부채 이자 지급은 모두 지속 불가능한 궤도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금은 안전자산으로 간주되며, 금의 현금화는 절박한 행위라기보다는 안정화 조치로 프레임화될 수 있습니다. 금 현금화 이벤트를 위해 이러한 요소들이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습니다.
But what happens if the US actually takes these steps? If the US were to officially revalue gold, the effects would be immediate and far-reaching. The impact would depend on the degree of revaluation. If gold were revalued just above the current spot price, say at $2,900 an ounce, it would inject an estimated $800 billion into the US Treasury’s general account, reducing the need to issue new Treasury bonds and potentially easing short-term funding pressures.
하지만 미국이 실제로 이러한 조치를 취하면 어떻게 될까요? 미국이 금을 공식적으로 재평가한다면 그 효과는 즉각적이고 광범위할 것입니다. 그 영향은 재평가 정도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금이 현재 현물 가격(예: 온스당 2,900달러) 바로 위에서 재평가된다면 미국 재무부의 일반 계정에 약 8,000억 달러가 투입되어 새로운 국채 발행의 필요성이 줄어들고 단기 자금 조달 압력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While this would improve the US Treasury’s balance sheet, it wouldn’t be a game-changing move. However, it would be a symbolic shift, signaling that gold is once again being recognized as an important financial asset by the US government. The markets would likely see this as a measured, non-disruptive step.
이렇게 하면 미국 재무부의 대차대조표가 개선될 수 있지만,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조치는 아닐 것입니다. 그러나 이는 상징적인 변화로, 금이 미국 정부에 의해 다시 한 번 중요한 금융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시장은 이를 중단 없이 측정된 조치로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Now, what if the US revalues gold to $10,000, $50,000, or even $140,000 per ounce? A controlled revaluation to $5,000–$10,000 per ounce would be a conservative approach designed to stabilize the US balance sheet. The dollar would gain confidence due to this tangible backing, and inflation might be moderated rather than exacerbated.
이제 미국이 금을 온스당 10,000달러, 50,000달러, 심지어 14만 달러로 재평가한다면 어떨까요? 온스당 5,000~10,000달러로 통제적으로 재평가하는 것은 미국 대차대조표를 안정화하기 위한 보수적인 접근 방식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가시적인 뒷받침으로 인해 달러는 신뢰를 얻고 인플레이션은 악화되기보다는 완화될 수 있습니다.
A more aggressive move, revaluing gold to $20,000–$50,000 per ounce, would drastically increase the value of US reserves. Gold would be used as a key financial asset to absorb US debt, significantly reducing fiscal burdens. However, such a dramatic shift would send shockwaves through fiat currency markets, with many central banks scrambling to increase their own gold reserves.
금을 온스당 20,000~50,000달러로 재평가하는 보다 공격적인 움직임은 미국 준비금의 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금은 미국 부채를 흡수하는 주요 금융 자산으로 사용되어 재정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극적인 변화는 법정화폐 시장에 충격을 줄 것이며, 많은 중앙은행이 자체 금 준비금을 늘리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In an extreme scenario, if the US revalues gold above $100,000 per ounce, it would trigger a total reset of the global financial system. The fiat money system as we know it would collapse overnight, and a return to a gold-backed economy would become inevitable. While the US government would be in an incredibly strong financial position, hyperinflation would ravage global markets, wiping out savings and devaluing currencies.
극단적인 시나리오에서 미국이 온스당 10만 달러 이상의 금을 재평가하면 글로벌 금융 시스템이 완전히 재설정될 것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법정화폐 시스템은 하룻밤 사이에 붕괴되어 금을 뒷받침하는 경제로의 복귀가 불가피할 것입니다. 미국 정부는 매우 강력한 재정 상태에 있지만 초인플레이션은 글로벌 시장을 황폐화시키고 저축을 없애고 통화를 평가절하시킬 것입니다.
This move would not happen in a vacuum. Countries like China and Russia, which have been aggressively accumulating gold, could see their holdings appreciate dramatically. Meanwhile, nations with low gold reserves could face severe disadvantages as their currencies depreciate relative to gold-backed wealth.
이러한 움직임은 공백기에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중국과 러시아와 같이 공격적으로 금을 축적해 온 국가들은 금 보유량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습니다. 한편, 금 보유량이 낮은 국가들은 금을 뒷받침하는 부에 비해 통화 가치가 하락함에 따라 심각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Would the US risk upsetting global financial markets with this kind of move? Under any other president, we might say no. But this is Trump, Musk, and a group of highly successful billionaires who are not afraid to shake things up. What do you think?
미국이 이런 움직임으로 글로벌 금융 시장을 뒤흔들 위험이 있을까요? 다른 어떤 대통령 하에서도 우리는 거절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머스크, 그리고 상황을 뒤흔드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매우 성공적인 억만장자 그룹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해당 영상 링크.
https://youtu.be/M5qhBC1GnOA?si=fGpdSXsEbOvi_Qyu
파이낸셜 포스트 관련 기사 링크.
https://financialpost.com/investing/wall-street-revaluing-gold
'잡다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라남도 해남, 세계 최대 AI 데이터센터의 새로운 중심지로? (0) | 2025.02.21 |
---|---|
영화 "시빌 워"가 경고하는 대한민국의 선택은? (0) | 2025.02.18 |
디지털 리터러시 AI 시대에 왜 더 중요할까요? (2) | 2025.02.14 |
HAARP 음모론 근거는 무엇일까? (1) | 2025.02.13 |
옥살산이 신장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0) | 2025.0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