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사순절(사순시기)

by ohmyworld 2024. 2. 5.
반응형

 

 

2024년 사순절(사순시기)

 


재의 수요일을 시작으로(2월 14일) 주님 만찬 성목요일 미사 전까지(3월 28일) 2024년 사순절(사순시기)을 보내게 됩니다. 사순절에 대해서는 예전 포스팅글을 올려놓겠습니다.

 

https://youwin.tistory.com/153

 

2023년 부활절 및 사순절 시기

2023년 부활절 및 사순절 시기 새해가 된 지도 벌써 1월 중순이 지나가고 있네요. 늘 그렇듯 시간은 잠시도 여유라는 것을 주지 않고 달려가는 듯합니다. 더 늦기 전에 천주교 전례력으로 2023년 부

youwin.tistory.com

 

아래는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의 사순시기에 대한 글을 적어봤으니 함께 읽어보시고 그 의미를 깊게 깨닫고 실천하는 시기를 준비했으면 좋겠어요.

 

사순시기


‘사순 시기’는 ‘재의 수요일’부터 ‘주님 만찬 성목요일’의 주님 만찬 미사 전까지이다. 이 사순 시기는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며 예수님의 파스카 축제를 준비하는 기간이다.‘사순’(四旬)은 본디 ‘사십일’이라는 뜻으로, 『성경』에서 이 숫자는 중대한 일을 앞두고 이를 준비하는 기간을 상징한다. 모세는 십계명을 받기 전 사십일 동안 재를 지켰고(탈출 34,28 참조), 엘리야는 호렙산에 갈 때 사십 일을 걸었다(1열왕 19,8 참조). 예수님께서도 공생활을 시작하시기 전 사십일 동안 광야에서 단식하시며 유혹을 받으셨다(마태 4,1-2 참조). 이처럼 ‘사십’이라는 숫자는 하느님을 만나는 데 필요한 정화의 기간을 뜻한다. 파스카 축제를 기쁘게 맞이하려면 이 사순 시기 동안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그래서 이 기간에 희생과 극기의 표징으로 금육과 단식을 실천하며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에 동참한다. 교회는 전통적으로 재의 수요일과 주님 수난 성금요일에 금육과 단식을 함께 지키고 있다. 금육은 만 14세부터 죽을 때까지, 단식은 만 18세부터 만 60세의 전날까지 지켜야 한다(『한국 천주교 사목 지침서』, 제136조 참조). 이러한 희생은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 가난한 이웃에 대한 나눔으로 드러나야 하므로 일상생활에서 구체적인 사랑의 나눔으로 완성되어야 한다. 사순시기 동안 거행하는 전례는 신자들이 파스카 축제를 잘 준비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이 기간의 미사 때나 말씀 전례에서는 ‘알렐루야’와 ‘대영광송’은 바치지 않는다. 그리고 제의의 색깔은 회개와 속죄를 상징하는 보라색이다. 신자들은 ‘십자가의 길’ 기도를 자주 바침으로써 예수님께서 겪으신 고난의 길을 함께 걸으며 그 뜻을 새긴다.


출처.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반응형

 

 

◈ † “때가 차서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마르코복음 1장 14절]

 

우리는 예수님의 다가옴을 알리는 말씀을 듣게 됩니다. 그때가 바로 지금이죠. 바로 지금이 우리가 회개하고 복음을 믿는 때입니다. 사순은 고요하고 깊은 시기입니다.

 

하느님의 나라와 예수님의 사랑이 가까이 왔음을 믿으면서, 우리는 이 특별한 시간을 소중히 여깁니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는다는 것은 새로운 시작을 의미해요. 우리는 그리스도의 사랑과 용서를 받아들이며, 새로운 희망과 의미로 가득 찬 삶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진. Unsplash의Jon Tyson

 


사순 기간에는 묵상과 기도를 통해 예수님과 더 깊은 관계를 형성하고, 우리의 영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시간이에요. 마음을 정화하고 성령의 이끄심으로 우리는 더 나은 삶을 향해 나아갈 수 있습니다.

 


하느님의 나라에 다가가는 이 길은 회개와 믿음으로 이뤄진 여정이에요. 예수님의 사랑과 은총을 느끼며, 기쁜 소식을 받아들여 보려고 노력해 봅니다.

 

이 사순절(사순시기) 동안, 예수님과 함께하여 새로운 희망으로 가득 찬 삶을 시작해 보는 건 어떨까요? 그리스도의 축복이 여러분과 함께하기를 기도합니다. 아멘.

 

 

반응형

댓글